2024/10/28 3

[모의 면접 준비] 로드밸런싱

로드밸런싱로드밸런싱은 트래픽을 여러 서버에 고르게 분배하는 기술입니다. 매우 많은 사용자들의 요청을 한 서버에서 처리하기에는 부담스러우니, 여러 서버로 분배해서 처리함으로써 서버의 부하를 낮추는 것입니다.여러 서버를 사용하기 때문에, 한 서버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로드밸런싱을 담당하는 로드밸런서가 트래픽을 다른 정상 작동하는 서버로 돌려서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나중에 사용자가 더 많아져서, 더 많은 트래픽을 처리해야하면 또 서버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유연성도 좋아집니다.로드밸런서는 트래픽을 나눌 뿐만 아니라 주기적으로 서버의 상태를 확인해주는 헬스체크라는 기능 또한 가지고 있습니다.로드밸런싱 알고리즘라운드 로빈요청을 순서대로 각 서버에 순서대로 분배해주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서 A, B, C ..

카테고리 없음 2024.10.28

[모의 면접 준비] 대칭키와 비대칭키

대칭키, 비대칭키 암호화대칭키 암호화는 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키를 사용합니다. 송신자와 수신자가 같은 키를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빠른 암호화와 복호화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키를 수신자와 송신자가 공유해야 해서, 공유하는 과정에서 키가 노출될 위험이 있습니다.비대칭키 암호화는 암호화와 복호화에 서로 다른 키를 사용합니다. 공개키와 개인키라는 두 가지 키를 사용하는데, 공개키는 이름 그대로 모두에게 공개되어 있는 키고, 개인키는 개인이 비밀로 가지고 있는 키입니다. 공개키로 암호화한 데이터는 오직 해당 개인키로만 복호화 할 수 있고, 개인키로 암호화한 데이터는 공개키로만 복호화할 수 있습니다. 대칭키를 사용하는 방식보단 보안성이 좋지만, 속도가 더 느립니다.대칭키/비대칭키 혼합 사용대칭키와 비대칭키의..

TIL 2024.10.28

[모의 면접 준비] 전송 계층 프로토콜

전송 계층 프로토콜전송 계층은 OSI 7계층의 4계층에 해당하는 계층입니다. 전송 계층은 데이터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수신자와 송신자의 신뢰성을 보장하고, 데이터가 잘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이를 위한 대표적인 프로토콜이 두 가지가 있는데, TCP와 UDP입니다.TCP는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로,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송신자와 수신자가 연결을 설정합니다. 그리고 오류 제어나 흐름 제어를 통해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순서가 바뀌는 것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보장해준다는 특징이 있습니다.반대로 UDP는 비연결형 프로토콜로,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연결을 설정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해주지 않아 데이터의 손실이나 순서가 뒤바뀔 수 있지만, TCP보다 속도가 빠르다는 특징이 있습니다.IP의 한계I..

TIL 2024.10.28